<aside> 💡 참여자 의견수렴과 이를 바탕으로 한 환경교육 선언 작성
</aside>
모두가 함께 고민하고, 이야기하며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💡
15인 규모 11개 모둠 운영
당일 참가자들이 원하는 모둠에 자율 참가
💡1차 토론 (16:00 ~ 16:15) : 개회식에서 발표된 선언문 초안 검토
💡2차 토론 (16:15 ~ 17:10) : 환경교육 주제 토론
토론을 통해 마련한 선언문은 폐막식에서 발표!
‘2024 한국환경교육 방향 전환 촉구 선언’ (가제, 폐막식)
NO | 원탁회의 주제 | 세부주제 |
---|---|---|
1 | 환경교육과 평생교육 | 환경교육과 평생교육은 서로 다른 목적과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,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습니다. 두 교육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해 봅시다. |
평생교육과 상호보완적이면서도 다른 환경교육은 어떤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까요? | ||
평생교육과 환경교육에 있어 비학령인구의 교육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. 비학령인구를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진행할때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과 구체적인 체험활동으로 무엇이 있을까요? | ||
2 |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화 | 환경교육 패러다임의 변천과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 |
현재 가장 중심적인 환경교육 패러다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? | ||
기후위기 등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어떤 패러다임의 확대나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? | ||
혹시 새로운 패러다임이나 접근법로 제안하고 싶은 게 있습니까? | ||
3 | 환경교육과 지역환경교육 | 환경교육 활용 위한 시민참여형 지역자원조사 |
4 | 환경교육과 생태계서비스 | 생태계서비스(ES)가 환경교육에 미친 긍・부정적 영향 |
생태계서비스(ES)의 인간중심적 요소 찾기 | ||
인간중심적 요소를 뺀(-) 생태계서비스(ES) 재구성하기 | ||
5 | 환경교육과 해양교육 | 해양오염의 주요 원인과 영향 |
해수온도 상승과 기후변화 | ||
해양 플라스틱오염과 해양생물 | ||
해양생태계 복원, 해양 산성화 | ||
해양 소음 오염이 해양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| ||
해양 보호구역의 관리방안 과 지속가능한 어업 | ||
6 | 환경교육과 탄소중립교육 | 탄소중립 교육을 위한 교구재 활용 방안 |
생애주기별 탄소중립 교육과 친환경 실천방안 | ||
학교와 지역 연계 탄소중립 교육 활성화 방안 | ||
7 | 환경교육과 청년 | 환경교육의 N잡러 |
나만의 워라벨 스킬 | ||
30년 뒤의 환경교육 | ||
8 | 환경교육 교구 | https://docs.google.com/forms/d/e/1FAIpQLSeaW6OAGBRwqXpnAuQz_lPaUGzOOOMJqzoQxJMqOAJlYuTh4g/viewform?usp=sf_link |
9 | 환경교육과 AI | AI가 환경교육에 어떻게 활용방안-될 수 있는지, AI가 교육에 미치는 장점과 단점 및 앞으로의 가능성 |
AI 기술의 적용 사례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 | ||
환경교육과 가상공간 | AI, VR, AR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이는 환경교육 사례 공유 | |
환경교육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| ||
AI 기반으로 학습자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 지속성을 높이는 방안 | ||
10 | 환경교육과 도서활용 | 환경교육을 기획 및 진행하실 때 도서(일반대상, 그림책, 동화책 등)의 활용을 자주 하시나요? 실제로 교육 활동에 활용하셨거나 추천하시는 도서를 소개해 주세요. |
환경교육에 도서를 활용하시는 주요 이유는 무엇일까요? 어떤 점을 기대하고 활용하시나요? | ||
환경교육에 적합한 도서를 어떻게 선정하시나요? 이 과정에서 어려운 점이나 애로사항은 무엇이 있을까요? | ||
환경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도서를 활용한다면 어떤 방법과 도움이 필요할까요? | ||
11 | 환경교육 모두 까기 | |
(비판적 접근) | 재미있는 체험으로의 만들기와 예쁜 쓰레기 사이에서 환경교육이 가야 할 길은? |